신용회복.com

성공 사례

퇴임 D-1 김용태 "채상병 유가족에 상처, 국민께 실망드렸다"

사기
테스트 1
2025-06-29 15:58:30

"유가족과 국민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임기 종료를 불과 하루 앞둔 29일, 고개를 숙이며 사과의 뜻을 밝혔다. 해병대 채상병 사망 사건과 관련해 '진상규명'을 부르짖으면서도 막상 이를 위한 특별검찰법안에 반대해 왔던 당의 과거를 반성한 것이다. 또한 전직 대통령 윤석열씨의 탄핵에 반대했던 당론에 이어, 또 하나의 당론을 뒤집어야 한다는 도발적 선언이기도 했다.

5대 개혁안 관철이 여전히 당의 기득권을 쥐고 있는 주류 친윤계에 막히면서, 김 비대위원장은 별다른 성과 없이 임기 종료 수순에 들어갔다. 하지만 자신에게 주어진 지위를 마지막까지 십분 활용해 당을 향한 '개혁' 목소리를 높이는 모양새이다.

"진상 밝히고 책임 규명하는 게 정치인 도리... 당론 따라 표결 불참 사과"

김용태 비대위원장은 이날 오후 2시 국회의사당 본관에서 준비한 원고를 읽어내려 갔다. 그는 "지난 5대 개혁안을 말씀드리면서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를 비롯해 당론 제도화를 말씀드린 바가 있다"라며 "국민의힘은 국가 주요 정책이나 입법안 등 당론은 의원총회의 의결로 결정한다. 당헌·당규에 따라 당원은 결정된 당론과 당명에 따를 의무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편 국회의원은 헌법기관으로서 양심에 따른 의사결정을 존중받아야 마땅하다"라며 "그렇기 때문에 당론 제도화는 헌법정신을 지키고 자유민주정당으로 나아가기 위해 필수적인 개혁 과제"라고 밝혔다. 개별 국회의원이 당론에 반대해 '소신' 투표를 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줘야 한다는 취지이다. 이어 "순직 해병대원 사건의 진상규명 과정에서 유가족께 상처를 드리고, 국민께 실망을 드린 점을 사과드리기 위해 이 자리에 섰다"라고 말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휴전 중인 대한민국에서 군인들은 국가와 국민을 지키기 위해 언제라도 작전을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다"라며 "때문에 국가공동체의 가장 소중한 자원인 군인에 대하여 국가가 보호와 예우의 책무를 다하는 것이 마땅하다"라고 강조했다.

"2023년 7월, 갑작스러운 폭우 상황에서 경북 예천군 호명면 황지리의 내성천 실종자 수색 작전 중 해병대원의 사망 사고가 발생한 과정과 해병대 수사단의 수사과정에 대한 개입 의혹에 대하여, 법과 원칙에 따라 신속하게 진상을 밝히고 책임을 규명하는 것이 정치인으로서 당연한 도리"라고도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순직 해병대원 사망 사건에 대한 진실규명의 지연과 수사외압 의혹은 지난 22대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참패한 원인 중의 하나이기도 했다"라며 "국민들은 억울하게 희생된 군인의 죽음이 올바르게 밝혀지길 요구하고 있었다"라고 인정했다.